밍키넷: 해외 성인 컨텐츠 제공 사이트와 국내 법적 이슈 밍키넷 트위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위살림우 작성일25-10-21 12:03 조회3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93.kissjav.icu 1회 연결
-
http://59.kissjav.blog 1회 연결
본문
[서울=뉴시스] 한이재 기자 = 15일 서울 강남구에 있는 강남세움장애인보호작업장에서 노동자들이 근무 시작 전 체조로 스트레칭하고 있다. 2025.10.20. nowone@newsis.com
[서울=뉴시스]한이재 기자 = "안전!"
"제일!"
작업장에 들어가기 전 힘찬 구호가 복도를 채웠다. 장애인 보호작업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외침이었다.
21일 뉴시스 취재에 따르면, 지난 15일 서울 강남구에 있는 강남세움보호작업장에서는 파란 하의에 흰 상의의 위생복을 입고 위생모를 쓴 10여명이 제빵실 옆에 설치된 텔레비전을 쳐다보고 있었다.
오전 7시56분께 텔레비전에서는 노래가 흘러 비용 나와 작업자 흥을 돋웠다. 안전보건공단 준비체조였다. 제조업 특성상 반복 동작이 많아 안전을 위한 스트레칭은 필수다. 체조가 끝나자, 직업훈련교사가 하루 동안 해야 할 일을 설명했다.
세움에는 장애인 72명(근로인 50명·훈련생 22명)과 직원 14명이 일하고 있다. 대개 발달장애인으로 제빵에 30명, 임가공에 21명, 비누 제조에 21명 새마을금고기업인터넷뱅킹 이 일하고 있다. 면접을 거쳐 수습 기간도 지낸 정규직이다. 직무 매뉴얼에 따라 전 과정을 익힐 수 있게 진도도 정해져 있다.
세움과 같은 건물에는 직업적응훈련시설과 근로사업장이 있다. 훈련시설에서 보호작업장으로 또 근로사업장으로 이어지며 취업하는 때도 있다고 했다.
새마을금고 주택담보대출금리[서울=뉴시스] 한이재 기자 = 15일 서울 강남구에 있는 강남세움장애인보호작업장에서 김도윤(54)씨가 모카빵 반죽을 80g씩 소분하고 있다. 김씨는 "고마워서 월급을 전부 부모님께 드린다"고 했다. 2025.10.20. nowone@newsis.com
업무 능력과 장애 정도 상관없어… 잠실 아파트 전세 "발달장애도 계속 성장"
제빵실에 들어서자 은은한 커피 향기가 났다. 모카빵을 만드는 차례였다. 갈색 반죽을 80g씩 덜고 있는 김도윤(54)씨는 매일 오전 8시부터 오후 3시까지 빵을 만든다고 했다. 김씨 손을 거친 56개 반죽이 한 쟁반에 담기는 일이 반복됐다.
김씨는 10년 해당상품 차 베테랑이다. 반죽을 더하거나 빼느라 왼손 검지에 반죽이 항상 묻어 있는 김씨는 이곳에서 만드는 빵 종류마다 얼마큼의 반죽이 필요한지 외우고 있었다. 세움에 합격했을 때 어머니가 케이크에 불을 붙여 축하해줬다고 했다. 그는 "일할 때 즐겁다"며 "일을 안 하고 싶을 때는 없다"고 했다.
이전에 뷔페에서 설거지했다는 김명겸(49)씨는 비누 사출 직무에 만족한다고 했다. 그는 "60살로 정년퇴직할 때까지 일하고 싶다"며 "일 안 하는 거보다 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돈을 벌어 외식도 하고 생필품도 산다며 그는 "돈이 있으면 하고 싶은 거 하고, 사고 싶은 거 살 수 있다"고 말했다.
떡 포장 상자를 접고 있던 백혜정(39)씨도 "어렵지만 잘 접는다"며 "일하게 됐다고 하니 주변에서 열심히 하라고 했다"고 했다. 수입은 주로 저금하는데, 가끔 좋아하는 과자를 사서 먹는다고도 했다.
이처럼 보호작업장이 장애인 노동자에게 가지는 의미는 크다. 물론 생산력만 두고 보면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보호작업장은 각자 잘할 수 있는 직무를 찾아 나가는 곳이기도 하다.
안정희 강남세움보호작업장 원장은 "업무 능력과 장애 정도는 큰 연관성이 없다"며 "저마다 성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하고 배울수록 엄청나게 좋아진다"며 "발달장애여도 계속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서울=뉴시스] 한이재 기자 = 15일 서울 강남구에 있는 강남세움장애인보호작업장에서 김명겸(49)씨가 기계에서 나오는 비누를 일정한 크기로 자르고 있다. 김씨는 친한 동료 작업자에게 커피 사주는 걸 좋아한다고 했다. 2025.10.20. nowone@newsis.com
최저 임금 적용 제외…"눈에 보이지 않는 변화 봐주길"
다만 이들은 최저임금 적용에서 제외된다. 최저임금법에서 근로능력이 현저히 낮은 사람은 최저임금 적용에서 제외하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이 받아 가는 평균 임금은 한 달에 35만원 정도다. 3~5시간으로 근무시간은 다양하지만 5시간 기준으로 환산하면 시간당 3500원 수준이다.
대신 판매 수익을 연말에 성과급 형태로 장애인 직원에게 나눠 준다. 주요 판매처는 중증장애인 우선구매제도가 시행되는 교도소·구치소나 어린이집 등이다.
안 원장은 "발달장애인이 얼마나 성숙하게 잘 참여하고 변화하는지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저희는 안다"며 "더디게 성장하는 만큼 성과 중심이 아니라 더 깊이 있게 변화를 봐주면 좋겠다"고 했다.
세움은 고용노동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계기관과 관련 법들을 지키면서도 장애인을 안전하게 보호 고용하는 게 목표다. 이를 안 원장은 "경영과 복지 사이에서 딜레마"라며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운영상 어려운 지점도 있다. 안 원장은 보호작업장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서 공공기관별 총구매액의 1.2%가 최저선인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목표비율' 상승과 함께 직원배치 기준 제고가 필요하다고 했다. 현재 직원훈련교사는 장애인 8명당 1명, 생산 및 판매기사는 장애인 20명당 한 명뿐이라 업무 부담이 높다.
안 원장은 "이용자분들에게 최저임금을 주는 게 가장 큰 목표"라며 "이거는 국가가 해야 할 일이 아니겠냐"고 호소했다.
[서울=뉴시스] 한이재 기자 = 15일 서울 강남구에 있는 강남세움장애인보호작업장에서 백혜정(39)씨가 떡 포장 상자 상판을 접고 있다. 백씨는 영탁과 박서진 그리고 초콜릿 과자를 좋아한다고 했다. 2025.10.20. nowone@newsis.com
☞공감언론 뉴시스 nowone@newsis.com
[서울=뉴시스]한이재 기자 = "안전!"
"제일!"
작업장에 들어가기 전 힘찬 구호가 복도를 채웠다. 장애인 보호작업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외침이었다.
21일 뉴시스 취재에 따르면, 지난 15일 서울 강남구에 있는 강남세움보호작업장에서는 파란 하의에 흰 상의의 위생복을 입고 위생모를 쓴 10여명이 제빵실 옆에 설치된 텔레비전을 쳐다보고 있었다.
오전 7시56분께 텔레비전에서는 노래가 흘러 비용 나와 작업자 흥을 돋웠다. 안전보건공단 준비체조였다. 제조업 특성상 반복 동작이 많아 안전을 위한 스트레칭은 필수다. 체조가 끝나자, 직업훈련교사가 하루 동안 해야 할 일을 설명했다.
세움에는 장애인 72명(근로인 50명·훈련생 22명)과 직원 14명이 일하고 있다. 대개 발달장애인으로 제빵에 30명, 임가공에 21명, 비누 제조에 21명 새마을금고기업인터넷뱅킹 이 일하고 있다. 면접을 거쳐 수습 기간도 지낸 정규직이다. 직무 매뉴얼에 따라 전 과정을 익힐 수 있게 진도도 정해져 있다.
세움과 같은 건물에는 직업적응훈련시설과 근로사업장이 있다. 훈련시설에서 보호작업장으로 또 근로사업장으로 이어지며 취업하는 때도 있다고 했다.
새마을금고 주택담보대출금리[서울=뉴시스] 한이재 기자 = 15일 서울 강남구에 있는 강남세움장애인보호작업장에서 김도윤(54)씨가 모카빵 반죽을 80g씩 소분하고 있다. 김씨는 "고마워서 월급을 전부 부모님께 드린다"고 했다. 2025.10.20. nowone@newsis.com
업무 능력과 장애 정도 상관없어… 잠실 아파트 전세 "발달장애도 계속 성장"
제빵실에 들어서자 은은한 커피 향기가 났다. 모카빵을 만드는 차례였다. 갈색 반죽을 80g씩 덜고 있는 김도윤(54)씨는 매일 오전 8시부터 오후 3시까지 빵을 만든다고 했다. 김씨 손을 거친 56개 반죽이 한 쟁반에 담기는 일이 반복됐다.
김씨는 10년 해당상품 차 베테랑이다. 반죽을 더하거나 빼느라 왼손 검지에 반죽이 항상 묻어 있는 김씨는 이곳에서 만드는 빵 종류마다 얼마큼의 반죽이 필요한지 외우고 있었다. 세움에 합격했을 때 어머니가 케이크에 불을 붙여 축하해줬다고 했다. 그는 "일할 때 즐겁다"며 "일을 안 하고 싶을 때는 없다"고 했다.
이전에 뷔페에서 설거지했다는 김명겸(49)씨는 비누 사출 직무에 만족한다고 했다. 그는 "60살로 정년퇴직할 때까지 일하고 싶다"며 "일 안 하는 거보다 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돈을 벌어 외식도 하고 생필품도 산다며 그는 "돈이 있으면 하고 싶은 거 하고, 사고 싶은 거 살 수 있다"고 말했다.
떡 포장 상자를 접고 있던 백혜정(39)씨도 "어렵지만 잘 접는다"며 "일하게 됐다고 하니 주변에서 열심히 하라고 했다"고 했다. 수입은 주로 저금하는데, 가끔 좋아하는 과자를 사서 먹는다고도 했다.
이처럼 보호작업장이 장애인 노동자에게 가지는 의미는 크다. 물론 생산력만 두고 보면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보호작업장은 각자 잘할 수 있는 직무를 찾아 나가는 곳이기도 하다.
안정희 강남세움보호작업장 원장은 "업무 능력과 장애 정도는 큰 연관성이 없다"며 "저마다 성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하고 배울수록 엄청나게 좋아진다"며 "발달장애여도 계속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서울=뉴시스] 한이재 기자 = 15일 서울 강남구에 있는 강남세움장애인보호작업장에서 김명겸(49)씨가 기계에서 나오는 비누를 일정한 크기로 자르고 있다. 김씨는 친한 동료 작업자에게 커피 사주는 걸 좋아한다고 했다. 2025.10.20. nowone@newsis.com
최저 임금 적용 제외…"눈에 보이지 않는 변화 봐주길"
다만 이들은 최저임금 적용에서 제외된다. 최저임금법에서 근로능력이 현저히 낮은 사람은 최저임금 적용에서 제외하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이 받아 가는 평균 임금은 한 달에 35만원 정도다. 3~5시간으로 근무시간은 다양하지만 5시간 기준으로 환산하면 시간당 3500원 수준이다.
대신 판매 수익을 연말에 성과급 형태로 장애인 직원에게 나눠 준다. 주요 판매처는 중증장애인 우선구매제도가 시행되는 교도소·구치소나 어린이집 등이다.
안 원장은 "발달장애인이 얼마나 성숙하게 잘 참여하고 변화하는지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저희는 안다"며 "더디게 성장하는 만큼 성과 중심이 아니라 더 깊이 있게 변화를 봐주면 좋겠다"고 했다.
세움은 고용노동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계기관과 관련 법들을 지키면서도 장애인을 안전하게 보호 고용하는 게 목표다. 이를 안 원장은 "경영과 복지 사이에서 딜레마"라며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운영상 어려운 지점도 있다. 안 원장은 보호작업장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서 공공기관별 총구매액의 1.2%가 최저선인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목표비율' 상승과 함께 직원배치 기준 제고가 필요하다고 했다. 현재 직원훈련교사는 장애인 8명당 1명, 생산 및 판매기사는 장애인 20명당 한 명뿐이라 업무 부담이 높다.
안 원장은 "이용자분들에게 최저임금을 주는 게 가장 큰 목표"라며 "이거는 국가가 해야 할 일이 아니겠냐"고 호소했다.
[서울=뉴시스] 한이재 기자 = 15일 서울 강남구에 있는 강남세움장애인보호작업장에서 백혜정(39)씨가 떡 포장 상자 상판을 접고 있다. 백씨는 영탁과 박서진 그리고 초콜릿 과자를 좋아한다고 했다. 2025.10.20. nowone@newsis.com
☞공감언론 뉴시스 nowone@newsis.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